기업공부 (에코프로 외)

에코프로비엠 원재료 및 생산설비 (2022년 1분기)

지금식량 미래식량 2022. 5. 18. 13:12
반응형

에코프로비엠 2022년 1분기 분기보고서 (2022.05.16) 발췌

 

 

 

2)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추이 및 공급시장의 독과점 정도 등

 

(1) 니켈 현황


① 니켈 가격 동향
`22년 3월 평균 니켈가격은 전월대비 31.8% 상승했습니다. 

 

니켈시장은 전기차 시장강세 및 러시아발 공급망 차질로 타이트한 수급상황이 지속되면서 가격 상승 압력이 발생함에 따라 3월 니켈가격이 전월대비 31.8%, 전년동월대비 93.6% 상승세로 톤당 3만달러선을 돌파하였습니다. 

 

LME의 니켈 재고량은 3월5주차기준 72,589톤으로 49주 연속 감소세를 나타내면서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다만, 미연준의 금리 인상 및 양적긴축 가속화 및 중국의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산업활동 둔화로 상기 가격 상승 압력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10년간 니켈 가격 및 LME재고량(톤)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전략광종 자원시장 월간동향(제22-04호)

 



② 니켈 공급시장 및 공급 안정성


S&P社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세계경제 성장 둔화 영향으로 '22년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4%로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정련니켈 소비가 위축될 것으로 분석하고 올해 정련 니켈 소비량을 당초 예상보다 28,000톤 감소한 2,977,000톤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올해 세계 정련니켈 수급은 당초 예상보다 증가한 46,000톤의 공급과잉이 될 것으로 예측합니다. 

 

러시아에 대한 미국, 유럽 등의 강도높은 경제 제재로 니켈 공급 우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21년 기준 러시아는 세계정련니켈의 15.2%를 생산한것으로 추산되며 정련니켈은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위한 황산니켈제조에 사용됩니다. 

 

세계 최대 정련니켈 생산업체인 Nornickel社에 대한 직접적인 제재는 아직 부과되지 않았으나 공급 차질 우려가 여전한 상황입니다. 

 

Nornickel社는 미국, 유럽 공급물량의 중국전환을 고려중이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호주 등이 미국 및 유럽의 대안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전략광종 자원시장 월간동향(제22-04호)

 


(2) 코발트 현황


①코발트 가격 추세
콩고 내전 사태로 인해 2008년까지 가격 폭등세 이후 하락세를 보였으나, 2016년 4분기부터 2018년 3월($95,500/톤) 까지 급등세를 보이며 수요가 공급을 압도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전기차 수요 급증에 따라 코발트를 포함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핵심 원료 가격이 급등하는 등 최근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0년간 코발트 가격(LME CASH)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②코발트 공급시장 및 공급 안정성 

[주요 프로젝트 및 광산]

 

주요 프로젝트 및 광산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광종정보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S&P Global (*는 추정값)

 

 세계 수요량 약 11만톤 중 이차전지용으로 6만톤이 사용되는데, 향후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 기하급수적으로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중국,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3국에서 전세계 소비량의 3/4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기차 생산증가로 촉발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극소재의 응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코발트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3) 리튬 현황


① 리튬 가격 추세
 리튬은 원재료인 염수(Brines) 또는 암염(Minerals)으로 부터 1차로 탄산 리튬(Lithium Carbonate), 수산화리튬(Lithium Hydroxide)이 추출되고, 추가 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리튬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탄산 리튬을 재료로 추가 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리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향후 큰 폭의 전기차 시장 성장이 예상 되기 때문에 리튬의 수요 증가와 함께 리튬 시세도 상승될 것으로 전망 되고 있습니다.

 

 

탄산리튬

 

반응형

 

battery grade lithium carbonate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②리튬 공급시장 및 공급 안정성


리튬은 리튬 트라이앵글로 불리는 남미의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칠레 국경 지방에 많은 양이 매장 되어 있습니다.

 

 2016년 기준 생산량으로 보면 호주의 탤리슨 광산이 가장 많으며, 염호 생산을 하는 업체로는 Albermarle과 SQM이 상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Bloomberg NEF 자료에 따르면, 리튬 공급량의 절반 이상이 Albermarle, SQM, Tianqi의 세 기업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2018년 12월 중국 최대 리튬 공급업체인 Tianqi는 칠레 최대 리튬 생산업체인 SQM의 지분 23.77%를 40억 달러에 인수하며 전세계 리튬시장에서의 중국 업체들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호주-아르헨티나 리튬 생산업체인 Alkem社는 아르헨티나 Olaroz 공장의 4~6월 탄산리튬 평균가격을 $35,000/톤으로 예상하였으며, 동기간 서호주 Mount Cattlin 정광(산화리튬 6%)의 예상 판매량은 50,000dmt, 가격은 $5,000/dmt로 전분기 평균가 $2,218/dmt보다 2배 이상 인상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포스코는 아르헨티나 Hombre Muerto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통합 수산화리튬 운영에 약 40억불 투자계획을 발표한 바, 리튬 시황의 강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희유금속 더 프라임(2022년 3월호)

 

 

나.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고객사 및 아이템 다변화와 더불어 전방 산업이 크게 확대하고 있는 사업 환경속에서 당사는 해마다 생산설비를 확충해온 바 있습니다. 현재 생산능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도 별 양극 소재 생산능력 (연결)

 

 

*생산설비 현황(연결)

반응형